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constraintlayout
- button
- switch
- RaduoButton
- RelativeLayout
- Application
- Professional Android
- EditText
- TEXT
- TableLayout
- GridLayout
- manifest
- TextInputlayout
- androidstudio
- CheckedTextView
- Guideline
- Android
- PlainText
- layout
- Chip
- AutoCompleteTextView
- textview
- ToggelButton
- intent-filter
- LinearLayout
- FrameLayout
- Kotlin
- Today
- Total
목록androidstudio (4)
근본있는 블로그

안드로이드 UI를 빌드하면서 많은 View들이 포함될 것입니다. 그리고 이 View들은 하나 이상의 중첩된 Layout(View Grout)에 포함됩니다. 안드로이드는 수많은 Layout Class를 제공합니다. 직접 사용하거나 수정할 수 있고, 때로는 UI Layout을 직접 만들 수도 있습니다. 이번편에서는 안드로이드 SDK에서 제공하는 Layout Class를 살펴보겠습니다. Plaette의 Layouts에 있는 항목들 외에도 GridLayout과 RelativeLayout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Layout Layout은 루트 노드에 지정된 다양한 속성을 사용하여 모든 자식 노드가 배치되는 방식을 변경합니다. 특히 layout_width와 layout_height 속성은 모든 View에 필요합니다..

Buttons Button 가장 기본적인 Button입니다. Activity에서 SetOnClickListener를 구현함으로써 버튼이 클릭되었을때 무슨 일을 할 것인지에 대하여 정의할 수 있습니다. Chip, ChipGroup 위에 보이는 4가지 버튼들이 chip의 4가지 유형입니다 순서대로 Action, Entry, Filter, Choice 입니다. 각각의 Listener를 이용하여 버튼들이 눌렸을 때를 구현할 수 있으며 ChipGroup을 이용하여 다수의 Chip을 관리 할 수 있습니다. 더욱 자세히는 추후에 따로 게시물을 통해 설명하겠습니다. 참고로 build.gradle(Module:app)에 다음 코드를 추가시켜 주어야하며 implementation 'com.google.android.mat..

AutoCompleteTextView, MultiAutoCompleteTextView 이 요소는 텍스트의 자동완성 기능을 지원하는데 사용됩니다. 위 코드는 기본적인 AutoCompleteTextView의 xml 코드입니다. android:completionThreshold 는 자동검색을 시작할 최소 글자수를 정의합니다. 위 코드에서는 1로 되어있으므로 1자리 부터 자동검색을 지원합니다. 자동 검색을 지원하려면 자동검색을 도는 풀이 있어야할 것입니다. // AutoCompleteTextView 임시 리스트만들고 연결 package com.professionalandroid.apps.android_practice1 import androidx.appcompat.app.AppCompatActivity impo..

Android Studio는 layout을 만들 떄 Code로 작성하는 것 외에도 Design을 제공합니다. 오늘은 Design에서 제공되는 Palette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Text TextView TextView는 사용자에게 글을 보여줄 수 있는 요소입니다. Plain Text (Edit Text) Plain Text는 TextView와 거의 동일하나 가장 큰 차이점은 사용자가 입력값을 넣을 수 있다는 것 입니다. 위에 사진을 보시면 이름 옆에 AB와 AB가 보일 것입니다. 밑줄의 의미는 수정이 가능하다라는 의미로 받아들이시면 되겠습니다. 그렇다면 Plain Text 밑으로 Number(Decimal)까지 모두 수정가능한 Text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위 사진은 실제로 Tex..